여러분 반갑습니다. 컴퓨터의 주 기억 장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사람은 기억력, 컴퓨터는? (1) 컴퓨터의 기억 장치컴퓨터에 있어서 기억장치는 필요한 정보의 저장을 담당하는 장치로써, 다음과 같이 3가지의 종류로 나뉜다. (1) 레지스터(Register)라고 불리는 기억 장치는 중앙 처리 장치에 내장되는 기억 장치로써 플립플롭으로 이루어진 레지스터들을 말한다. 이들은 명령이나 자료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Buffer) 또는 캐시(Cache) 메모리라고 한다. 이전 포스팅으로 CPU의 구조를 설명하면서 L1, L2캐시를 배웠죠 그 캐시 입니다. (2) 주 기억 장치로써 컴퓨터가 작동하는 동안 처리 장치가 필요로 하는 일이 많은 프로그램이나 명령어, 자료를 저장하고 있는 기억 장치이다. 비교적 용..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번에 다 쓰지 못한 내용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CPU의 성능이 어디에서 결정되는지, 또 어떻게 보는지 (1) CPU의 성능은 어디에서 결정되는가?클럭 스피드에 따라 성능이 결정되며 CPU는 기본적으로 1번의 클럭에 1개의 명령을 처리한다.또한 클럭은 CPU 외에도 메인보드의 FSB (Front Side Bus)나 시스템의 속도를 표시하는 단위로 사용된다.이런 클럭의 숫자가 클수록 당연히 성능도 높아지기 마련인데, 공장 출하 이후의 사제 오버클럭킹은CPU를 계란 프라이를 해먹는 용도로 쓰도록 만들어 준다. (진짜 존나 뜨거워짐 약110도 쯤?)동작 클럭 뿐만 아니라 FSB, L1캐시의 크기, L2캐시의 크기, 제조 공정 등도 CPU의 성능을좌지우지 하는 요소가 된다. (2) 내 P..
안녕하세요. 메인보드에 대한 대부분의 내용을 블로그에 게시하였고 이제 CPU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오늘은 간단하게 주요 기능들만 알아 보도록 하지요. 중앙 처리 장치 CPU 주요 기능을 살펴봅니다. (1) CPU의 주요 기능컴퓨터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장치로, 다양한 입력 장치로 부터 자료를 받고 처리한다.이후 그 결과를 출력 장치를 통해 내보내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한다.모든 컴퓨터의 작동 과정이 중앙 처리 장치의 제어를 받기 때문에 컴퓨터계의 두뇌다. 중대형 컴퓨터에서는 이를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라고 하지만개인용 컴퓨터로 주로 사용되는 소형 컴퓨터에서는 때때로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로불리기도 한다, 하지만 결국 명칭만 다를 ..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전 포스트에서 끝내지 못한 HDMI, S/PDIF, IEEE1394, eSATA에 대해 알아봅니다. 메인보드의 단자 및 포트에 대해 알아본다. (1) HDMI 단자HDMI는 TV, 셋톱박스, 케이블TV, DVD플레이어 등의 가정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DVI를 사용하기위하여 개발된 기술로 DVI와는 호환되며 HDMI는 넓은 대역폭의 영상 신호, 또 음성 신호를 압축하지 않고전송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D-SUB나 DVI에 비해 매우 향상되고 최신의 디스플레이 전송 방식이다.HDMI 포트를 연결하면 오디오까지 전송되므로 직접적인 오디오 연결을 하지 않아도 된다. (2) S/PDIF 단자메인 보드에 내장된 사운드 카드에서 2개의 아날로그 출력 단자 (왼쪽, 오른쪽) 외에도디지털 출력 단자가 ..
안녕하세요. 오늘은 메인보드 백패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백패널의 기능과 설명 백패널은 키보드와 마우스, 모니터와 프린터와 같이 입력장치와 출력장치를 연결할 때 꼭 필요한 요소이다. (1) USB (Universal Serial Bus) 포트PC에 주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새로운 포트 규격으로 별도의 설정을 하지 않아도 연결하면바로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기능과 PC를 사용 중에도 장치를 연결하여 재부팅 하지 아니하고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핫 플러그(Hot Plug) 기능을 지원한다.그 외에도 USB는 직렬 포트나 병렬 포트보다 월등히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지며최신 버전(3.0)은 2.0방식의 480Mbps보다 10배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가진다. 약 ..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시간 끝마치지 못한 메인보드중 칩셋을 알아 보겠습니다. 메인보드 칩셋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칩셋이 하는 가장 큰 역할은 CPU를 최적의 상태로 쓸 수 있도록 관리 조정하는 기능으로모든 데이터는 CPU가 처리하지만 최종적으로는 주변장치에 의해 처리 된다. 이러한 개념으로 CPU와 주변장치를 연결함으로써 CPU의 본연의 연산 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전체적인 속도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이게 바로 병목현상 (프리징) 이라고 한다.) CPU가 관리해야 할 장치들을 메인 칩셋이 대신 관리함으로써 전체적인 시스템 속도를 올릴 수 있는방법으로 중간에서 매개체 역할을 하는 부분이 바로 메인 칩셋이 되는 것이다. 펜티엄 이전에도 칩셋은 있었지만 기능이 매우 미미하여 크게 화두가 되지는 않았..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서 끝 맺지 못한 메인보드의 소켓별 설명을 하려고 합니다. 메인보드에 붙은 각 소켓의 기능및 설명 (1) CPU 소켓CPU가 장착되는 곳, CPU를 장착하는 방식은 2가지가 있는데 슬롯 방식과 소켓 방식이다.최근에는 거의 소켓 방식이 사용되는 실정이다.CPU 소켓에는 CPU의 핀이 들어가는 구멍이 있는데 이 구멍의 개수와 CPU핀의 개수가 동일 해야만장착이 가능하다. 초기의 펜티엄4용 메인보드에는 4개의 구멍을 뚫어 놓았는데이는 펜티엄4 시절 쿨러가 매우 무거워 그 무거운 쿨러를 지탱하기 위해 뚫어 놓은 구멍이며최근에는 단종된 펜티엄4의 쿨러를 지탱할 일이 없어져 냉각팬 받침대가 설치되어 있다. (2) 메모리(RAM) 소켓메모리를 장착하는 부분을 메모리 또는 RAM 소켓이..
안녕하세요. 오늘은 메인보드의 구조에 대해 알아 보려고합니다.게시되지 않은 부분 중 궁금하신 내용은 댓글을 통해 물어보시면빠른시일내에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메인보드의 구조에 대해 알아 봅니다. 컴퓨터를 구성하는 주요 부품들은 메인보드에 직접 장착하게 되며 시스템 내의 다른 부품들과시스템의 외부장치들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이 메인보드에 연결됩니다. 결국 모든 건 메인보드에 연결됩니다. 그래서 메인 보드이지요. (CPU가 메인이 아니었어) 컴퓨터의 모든 장치는 직접적으로든 간접적으로든 메인보드에 연결된다.모니터 역시도 그래픽카드를 통해서 메인보드에 연결되며 스피커나 마이크 조차 사운드카드를 통해메인보드에 연결된다. 원래 컴퓨터란 모든 장치가 메인보드에 연결되어 거미줄 형상을 띄는게 맞다.마치 인터..
안녕하세요. 오늘은 메인보드를 이해하고 메인보드의 규격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합니다. 메인보드의 규격을 알아봅니다. 메인보드나 확장 카드의 모양을 폼팩터(Form Factor)라고 한다. 칩의 위치나 전원공급 방식 등에 의해 달라진다. 메인보드의 종류는 폼팩터의 차이에 의해 구분이 되는데이는 AT형과 ATX형 2가지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 외에 ATX의 변종인 마이크로 ATX와 새로운 규격 플렉스(Flex) ATX형이 있으며또 새로운 규격으로는 NLX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AT형은 97년까지 주로 사용되었고 최근에는 단종되어 보기 힘들다. 현재, ATX형과 마이크로 ATX가 주로 사용되며 찾아보기도 쉽다. 플렉스 ATX형은 99년도에 규격이 마련됐지만 표준 규격이 아니라 실제로 사용하는걸 보기가 ..
안녕하세요. 오늘은 운영체제에 대한 내용을 써보려고 합니다.기타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운영체제의 정의 운영체제 (Operating System) 줄여서 OS라고도 부른다. 운영체제는 컴퓨터 하드웨어와(Hardware)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사이에서중개 역할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의 한 종류이다. 그러니까 무슨 말이냐면,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내용을 키보드 또는 마우스등을 이용하여컴퓨터에 입력하면 운영체제는 이를 처리하여 모니터나 프린터와 같은 출력 장치를 통해 표현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제외하고도 가장 기본적으로 컴퓨터에 설치된 프로그램이나 메모리, 파일 등을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컴퓨터에는 운영체제를 반드시 설치하여야 한다. 운영체제의 종류 운영..